로그인

검색

1) 구술사

이 연구에서 주로 사용할 연구방법은 구술사(口述史, Oral History)이다. 구술사는 과거의 기억을 회상한 것을 주된 재료로 사용한다. 집단적 기억이나 사회적 기억을 통한 증언이 역사로 기록되는 것으로서, ‘구술’ 혹은 ‘증언’이라고 하기도 한다.1)  구술사는 구술자의 기억에 따라 정확성, 주관성의 한계를 드러낸다는 관점도 있지만, 근현대사 연구에서 구술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구술사는 주로 문제에 대해 직접 참여하여 역사를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을 이점(利點)으로 들 수 있다. 또한, 문헌사료만으로 확인할 수 없는 사실에 대해 검증이 가능하며 기존의 문헌사료에 대한 분석, 알려지지 않은 문헌사료와 사진자료의 공개 및 발굴을 촉진 시킨다는 점을 들 수가 있다.2) 

 

구술사는 구술자와 면담자간에 질문과 답변을 통해 구술자의 경험에 대한 설명을 구술로써 이끌어내고, 수집된 구술자료는 증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는 증언으로 수집된 구술자료를 녹취 작업을 거쳐, 관련 부분에 직접 삽입하여 인용하는 방식을 택하였고 인용문의 신뢰도를 위해 구술자의 증언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송덕기에게만 택견을 전수받은 제자들을 중심으로 면담을 진행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송덕기의 택견 기술과 그 전수과정에 대해 제자들을 통하여 보는 것은  송덕기에 대한 기존 자료의 사실 확인과 주목받지 못했던 사실들에 대해 재조명을 하여 새로운 문제 제시와 기존에 가진 문제점을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송덕기에 대한 기록은 매우 미약하게 기존자료들은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보충하여 기존의 택견 역사나 관련 자료에 추가하여 택견 역사 전체의 흐름을 연결 짓고 파악하는데 일정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구술자료 수집을 위해 구술자 선정 후 각 구술자들과 2~4차례에 걸쳐 일정을 잡았으며 구술자료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수집되었다.

 

각주

  1. 정혜경, 2005 「구술사, 개념적 이해」『구술사: 방법과 사례』, 18쪽.

  2. 정혜경, 2005 「구술사, 개념적 이해」『구술사: 방법과 사례』, 40쪽.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