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V. 결론

송덕기는 그의 제자였던 신한승과 함께 1983년 6월 1일 초대 택견 예능보유자가 되었다. 하지만, 송덕기가 보유한 택견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문화재 지정과정에서 송덕기가 보유한 택견의 온전한 형태와는 다른 모습으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이 되었다. 1987년 송덕기와 신한승의 타계 이후 이들에게 택견을 익히던 제자들은 각자의 단체를 설립하고 발전을 모색하여 독자적으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택견에 대해 서로 차별화된 해석으로 송덕기가 전수한 택견 원형의 형태와 전수내용이 이질화되는 문제를 가져오게 되었고 송덕기에 대한 이해 부족과 자료 조사의 부족으로 기록상의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송덕기에게만 배우던 직계제자들은 송덕기 타계 이후 거의 활동이 없었지만, 1991년을 기점으로 도기현을 중심으로 하는 서울택견계승회가 활동을 시작하였고 송덕기가 보유했던 택견의 형태가 다시 재조명이 되었다. 그리고 2002년 김정윤의 저서로 송덕기의 제자인 고용우와 국가전수장학생 이준서가 알려지게 되었다.

 

송덕기의 제자가 얼마 없다는 기존의 사실과 달리 1970년대 전후(前後)로 제자를 꾸준히 양성해 왔는데, 이 중 송덕기에게만 택견을 전수받고 국내에서 활발한 활동을 한 도기현에 의해 송덕기가 보유한 택견 기법과 형태가 유지가 되어왔으며 고용우는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접할 수가 없었다. 또한 박철희와 김병수는 송덕기와 가깝게 관계를 맺으며 무예인의 관점에서 송덕기의 동작과 원리를 지켜봐왔고 송덕기의 직계제자인 고용우와 도기현은 서로 다른 환경과 수련 기간을 가지고 전수 활동을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송덕기가 전수한 택견의 전수과정과 내용에 대하여 수련체계와 기술로 나누어 정리하였는데, 송덕기는 세부 기술 명칭이 일관되지 않았지만, 품밟기, 활개짓, 발질(발길질), 옛법이라는 큰 개념 안에서 설명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근대화된 무도체계와 비교해 다른 점을 보기 위해 복장, 기합, 예절과 같은 항목을 두어 정리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봤을 때, 송덕기의 생애와 활동 그리고 제자들 및 주변 인물들에게 전수한 택견 원형의 형태 및 전수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송덕기의 생애는 한국의 무예사․체육사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남긴 것을 알 수 있었다. 1896년 1월 19일에 출생하여  1987년 7월 22일에 생을 마감하기까지 단순히 택견의 형태만을 보유한 인물이 아닌 국궁, 근대체육, 축구로 한국 무예사․체육사에 다양한 활동을 한 인물이었다. 또한 기존의 알려진 것보다 임호에게 더욱 오랜 기간 동안 택견을 전수받으며 택견의 온전한 형태를 보유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재 택견단체들이 보급하는 택견 형태와 송덕기의 택견 형태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택견 단체들이 보급하는 택견 형태의 차이로는 예절과 복장은 특정한 의미가 부여된 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고, 기합은 놀람의 표시로 발생된 것이 아닌, 힘을 쓰기 위해 소리를 넣거나 상대에게 가볍게 신호를 주는 형태로 때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품밟기는 품을 거꾸로 밟으며 과장된 몸짓을 하는 것이 아닌, 발을 움직여 중심을 이동하는데 기본으로 품(品)자의 형태를 취하고 발의 간격으로 한 족장을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었다. 활개짓은 정형되어 강제적으로 움직이며 미적인 형태를 취하는 것이 아닌, 팔의 전체적인 사용 방법으로 독자적으로 사용도 하며 발질의 사용을 돕고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질은 걸어넘기는 사용은 같지만 밀어 차는 것이 아닌, 발장심을 이용해서 주로 차는 것을 알 수 있다. 옛법은 상대를 절명케 하는 특수한 기술이 아닌, 상대에게 큰 상해를 가할 수 기술 전반으로 일반 기술들과 구분하기 위해 지칭된 것을 알 수 있었고 활개짓과 발질의 형태에서 사용 부위와 힘의 방향, 공격지점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계제자들과 주변인물을 통해 본 송덕기가 보유한 택견은 격투기술을 기반으로 놀이․경기의 형태가 혼재된 옛 무예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송덕기가 택견을 전수한 내용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송덕기의 제자들이 전수받은 내용 중에 공통적으로 전수받은 기술의 내용과 설명은 대부분 일치하였지만, 전수 방식에 차이가 있을 알 수 있었다. 그 차이로는 송덕기가 전수한 시기와 연령에 따른 차이와 제자간의 전수 기간의 차이도 있었다. 고용우의 구술은 송덕기 주변 인물들이 구술하는 송덕기의 동작과 상당 부분 일치한 것으로 보아 송덕기로부터 강습(講習)의 형태로 오랜 기간 전수를 받아 다양한 기술들을 전수받고 노하우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었고 도기현은 견주기 위주로 지도(指導)를 받아 주로 사용되는 기술과 택견의 경기방식을 배운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송덕기가 직계제자들에게 전수한 택견의 다양한 기술들 중에는 명칭이 일정하지 않고 정형화되지도 않는 부분도 있었지만, 그 원리는 명확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 송덕기의 활동을 토대로 한 직계제자들과 주변 인물들이 전수받은 택견의 형태가 좀 더 심층적으로 연구되고 정리될 필요가 있겠다. 각자의 발전만을 위해 점차 이질화되어 가는 택견계의 문제해결에 있어 송덕기를 통한 택견의 정체성 복원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아야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