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3. 송덕기의 택견 형태 및 전수내용의 의의

송덕기가 보유한 택견의 형태를 살펴보았을 때, 현재 전수단체들이 보급하는 동작과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로 택견의 맥을 이어준 송덕기의 직계제자들과 달리 신한승이 정리하고 생성한 택견 형태를 유지하거나 송덕기, 신한승의 형태에서 벗어나 체육 종목을 지향하는 형태로 변화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다리를 사용하며 활개짓을 정형화하여 강제적으로 움직이거나, 다른 해석으로 품밟기를 거꾸로 밟으며 과장된 몸짓을 하고 있는데, 송덕기 직계제자들과 주변 인물들을 통해 본 택견의 형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었다. 

 

이 장에서는 수련체계(복장, 기합, 예절)와 기술(품밟기, 활개짓, 발질, 옛법)으로 정리 하였다. 송덕기가 전수를 할 때, 품밟기, 활개짓, 발질(발기질), 옛법이라는 큰 개념 안에서 설명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근대 무예체계와 비교하기 위하 복장, 기합, 예절로 정리하였다.

 

복장은 근대 무예에서 착용하는 도복과 같이 의미가 부여된 것이 아닌, 송덕기와 같이 흰색 적삼을 입고하였는데, 송덕기가 택견 활동을 하던 당시 일상복으로 제자들은 일상복으로 편안한 복장을 입거나 송덕기와 같이 한복을 입기도 하였다. 예절 역시 무예에서 강조하거나 특별한 규칙, 철학이 있는 것이 아닌, 사람으로 지켜야 할 예절이 필요하였기에 무예 체계로서 별다른 교육과 전수는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기합은 “익”에 강하게 소리를 내어 “크”는 자연스럽게 세어나 오는 기합의 형태를 볼 수 있었고 놀람의 표시로 발생된 것이 아닌, 힘을 쓰기 위해 소리를 넣거나 상대에게 가볍게 신호를 주는 형태로 때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품밟기는 엉덩이와 허리를 크게 움직이고 품의 형태를 거꾸로 밟는 모습은 찾아 볼 수가 없었다. 품밟기는 한 족장의 범위에서 항상 움직이는 것을 원칙으로 설명을 하였고 굼실 또는 굼슬르는 형태로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른 굴신 동작을 취하였다. 활개짓 역시 정형되거나 일정하게 움직이지 않는 형태를 취하였고 발의 사용을 돕거나 활개로 상대를 어르거나 속이고, 쳐 밀어 공격을 하거나 기회를 만들어 기술을 풀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발질(발길질)은 제자들이 전수를 하는데 있어 주 공격부위와 범위에 다른 모습을 보였지만 송덕기가 알려준 기술의 설명과 내용은 같았고 상대방에게 주로 발바닥(발장심)이나 발의 앞장심을 이용하여 상대를 차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옛법은 택견의 기본 활개짓과 발질에서 변화되어 사용되는 기술로 기존 자료보다 많이 부분 존재하였는데, 송덕기가 전수한 옛법의 형태는 정형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비슷한 형태의 기술이라도 사용부위나 공격방향에 따라 그 명칭과 사용방법이 존재한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격투무예의 전반적인 기술을 모두 담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옛법은 놀이․경기에 사용되는 기술들과 구별하기 위해 지칭된 명칭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택견의 형태를 봤을 때, 송덕기가 보유한 택견의 형태는 조선시대를 거쳐 구한말까지 전수된 온전한 택견의 모습으로 해석할 수 있고 격투기술을 기반으로 놀이․경기의 형태가 혼재된 옛 무예의 형태를 지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덕기가 택견을 직계제자들에게 전수한 내용에서 수련체계와 기술에 대한 설명과 과정은 비슷하였지만, 기술의 수와 전수내용의 전수 시기와 방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고 그 차이는 다음과 같았다.

 

고용우는 송덕기에게 택견을 송덕기의 나이 70대 후반에서 80대에 걸쳐 전수를 받았는데, 도기현은 90대에 걸쳐 전수를 한 시기의 차이가 있었고 전수 방식 역시 차이가 있었다. 고용우는 송덕기에게 혼자 전수받아 택견의 기능을 강습(講習)의 형태로 전수를 받았고 도기현은 여러 제자들과 주로 견주기의 형태로 때때로 송덕기가 보여주고 말로 일러주는 식의 지도(指導)의 형태로 전수받은 차이가 있었다.

 

제자 간 전수방식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전수받은 내용에 대해서는 사용 방법과 전수 내용의 흐름이 비슷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제자들이 전수받은 기술의 수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전수기간의 차이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고용우의 구술을 살펴보았을 때, 송덕기 주변 인물들이 구술하는 송덕기의 동작과 상당 부분 일치한 것으로 알 수 있었고 이와 같은 점으로 미루어 봤을 때, 고용우는 오랜 기간 전수를 받아 다양한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받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반면, 도기현은 견주기 시에 자주 사용되는 기술을 위주로 전수받으며 택견의 경기 형태를 전수받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송덕기는 택견의 온전한 형태를 보유하고 직계제자들에게 전수한 것은 단순히 택견이라는 것이 아닌 우리민족의 옛 무예이며 문화유산인 온전한 형태와 정체성을 전하여 준 것으로 볼 수 있다.